콘텐츠 본문으로 바로 이동
left
번호 제목 작성자
1164 일반 학교에서의 적용
[학교혁신]학교를 변화시키는 중등사례-직무
mo***

연수를 보면서 교사들이 행복해하고 자신감이 넘치는 모습을 보니 한편으로는 부럽고 동기부여도 되었던 연수였다.

1163 배움
[학교혁신]학교를 변화시키는 중등사례-직무
hm***

올해는 유난히 힘들고 한숨이 많은 학교생활을 하고 있어, 연수의 매 차시 끝부분에 나오는 문장 '행복한 교사가 아이들을 행복하게 합니다.' 이 마음에 꼭 들어왔습니다.  올해의 최대의 고민은 '어떻게 하면 아이들이 수업에 잘 참여하게 할 수 있을까?'여서 나름대로 다양한 수업방법을 도입하고 목적의식 부여, 주도적으로 학습을 하도록 지도했지만 일방통행으로 슬슬 지쳐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장곡중학교의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들으며 다시 또 해보자는 의지도 솟고, 많이 기다려주기, 정성을 다하기, 성심성의껏 하기 등을 모토로 다시 심기일전하여 아이들과 어울려보려고 합니다.

1162 연수 잘 들었습니다.
[학교혁신]학교를 변화시키는 중등사례-직무
an***

다양한 학교의 좋은 사례들을 보면서

학교현장에서 실시 가능한 모델들은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실행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좋은 연수 감사합니다.

1161 변화하는 학교, 학교 혁신을 위하여
[학교혁신]학교를 변화시키는 중등사례-직무
dj***

우선적으로 학교 구성원들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교육 비젼철학을 확립하고 교장, 교감,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가 갖고 있는 지혱하 력량과 능력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집단지성을 발휘하며 함께 공감해야 하겠다.

1160 가고 싶은 학교
[학교혁신]학교를 변화시키는 중등사례-직무
dj***

아이들에게 학교는 가고 싶은 곳이어야 한다.

이이들에게 학교에서의 배움과 성장이 즐거워야 한다.

그런의미에서 펜데믹시대에 원격수업에 매몰되어있던 학생들이 학교에 등교할 때의 밝고 명랑한 모습은 학교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일깨워주는 것 같아 가슴이 뭉클해 온다.

1159 배움과 삶이 하나 되는 교육
[학교혁신]학교를 변화시키는 중등사례-직무
oh***

학교 구성원의 자발성과 주도성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과 소통의 학교 문화 조성을 통하여

 

배움과 삶이 하나 되는 교육, 지역사회와 협력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생의 삶과 생활중심의

 

교육을 통해 지역과 학생의 미래를 설계하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1158 사례 중심 연수
[학교혁신]학교를 변화시키는 중등사례-직무
yo***

혁신학교에 대해 부쩍 관심이 생겨서 다양한 책을 읽어봤지만 실제감이 떨어지는 느낌이 들어 신청한 연수입니다. 다양한 방식의 적용 사례에 대해 알 수 있어 좋았습니다. 사례들이 벌써 10년이 지난 내용들이라는 점입니다. 10년 사이 경기도 외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학교 혁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 사례를 중심으로 연수 리뉴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1157 도움이 되었습니다.
[학교혁신]학교를 변화시키는 중등사례-직무
bl***

워크숍 준비를 위해 신청하여 연수를 들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1156 감사합니다.
[학교혁신]학교를 변화시키는 중등사례-직무
lo***

무엇보다 당시 학교에서 근무하셨던 선생님이 직접 인터뷰를 통해 좋은 점과 아쉬운 점을 함께 이야기해주니 공감이 잘 되었습니다.

그 속에서도 방법을 찾아가는 선생님들의 노력에 존경을 표합니다.

1155 교사가 바뀌어야 학교가 바뀐다.
[학교혁신]학교를 변화시키는 중등사례-직무
gs***

약 10여년전부터 실시되었던 여러 혁신학교의 사례들을 살펴보고 놀랐던 점은

이제서야 여러시도의 학교들이 학교혁신을 확산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교육계가 가장 늦게 변화하는 곳이라는 그 말과 그것이 그리도 쉽지 않은 일임을 역설적으로 설명하는 듯하다.

선생님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 AI 그리고 SW교육이 강조되는 요즘 코로나 19로 그 어느때보다도 탄력적이면서도 유연한 교육과정이 실시되어야 하는 요즘이다. 교사의 생각이 바뀌어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고 다양한 교육콘텐츠를 만들어 공교육이 교육의 저변을 탄탄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교사의 설자리는 갈수록 좁아질 것이고, 이런 변화의 흐름에 자신의 교육적 성장 철학을 담은 교육과정의 재구성과 핵심역량중심의 학생성장을 지원하는 교육의 실천은 4차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창의적인재양성에 초석이 될 것이다.

 교육의 변화는 쉽지 않다. 그러기에 개인의 변화는 교육공동체의 변화가 맞물려가야 더 길게 더 발전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수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사례는 교육공동체의 하나된 모습이었다. 더디 가더라도 모두가 함께하였기에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마을과 함께하는 공간혁신의 마을공동체 교육이 하나가 될 수 있었다. 혁신학교의 울림은 지자체의 협조로 이어졌고, 이는 학생의 성장발달로 이어졌다.

미래사회 우리학생들이 설 곳은 어디일까? 기후위기와 생태환경의 부정적 변화 그리고 온오프라인이 공온오프라인 교육이 공존하는 복합화된 교육과정 속에서 교육적 성장의 양극화가 극단적으로 치닫지 않게 하기 위해 공교육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이 연수를 통해 생각의 갈피를 잡을 수 있을 것같다.

우리가 혁신을 준비해야 하는 이유는 우리의 미래와 후대들의 지속적인 생존을 위해서이다. 현존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답일 것인가? 혁신이 싫어 주저앉아야만 할 것인가?

선택의 결과가 모두 긍정적이지는 않을 것이나 '꿈틀거리는 만큼 성장하고, 실패속에서도 배우는게 있다면 인생은 성장의 연속이다' 라는 오연호대표의 말처럼 혁신을 준비하면서 아니 미래교육을 준비하면서 우리는 꿈틀거릴 것이고, 그 과정에서 배우고 또 다른 방법을 찾아가며 성장할 것이다.

그러니 우리의 공교육은 변화의 흐름속에서 미래사회를 맞이할 준비를 해야한다. 그것은 미래사회 우리 후손들의 성장 밑거름이 될 것이다.